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

시골 면장집 둘째 아들

조현정이야기

유년 시절

시골 면장집 둘째 아들

  • 내 고향은 경남 김해군 한림면이라는 시골이다. 2002년 대홍수때 잘 알려진 이 곳은 어렸을 때 홍수만 나면 들 건너 아랫마을에 있는 학교에 등교를 못할 뿐만 아니라 외부와 교통이 두절되는 곳이었다.
    아버지는 자유당시절이던 당시 투표에 의하여 면장(00년-00년)과 면위원장(00년-00년)을 지내셨다. 할아버지는 한약방을 하셨으며, 나는 누나 넷과 삼 형제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. 외할아버지는 일본에서 비행기 플로펠러까지 만드는 알루미늄공장을 운영하시다가 해방이되자 쫓기 듯이 전 가족이 함께 귀국하셨다.
  • 사회 활동이 많으신 아버지의 노력으로 정부지원과 개인 재산을 더해 안명초등학교가 세워지고, 선생님이 전근 가시거나 부임해오시면 우리 집에서 모든 선생님을 모셔 놓고 만찬을 하기도 했다. 세 살 위 인 형은 3학기 동안이나 전교회장을 하고, 본인은 1학년 겨울 방학까지도 한글조차 모르는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이 학교를 떠나기 전인 3학년까지 우등상(아버지의 압력이 아닌 배려인 듯함 - 6살 때 돌아가셨음)을 받기도 했다. 면 사람들은 붉은 벽돌로 지어진(지금은 재 건축되었음) 이 학교의 벽돌 하나 하나가 조면장의 피땀이라고 면에서는 말을 한다.
  • 집의 대지가 2000평정도 되는 큰 규모의 집이었다. 넓은 마당은 동네 아이들 운동장이었으며, 가을에는 마당이 작은 동네사람들은 타작을 하는 곳이었다. 가을철 야밤에는 집 뒤에 있는 대나무 숲에서 동네청년 들이 참새몰이를 해서 잡은 참새로 별미를 맛보고, 집 울타리 안에 있는 텃밭에서 동네사람들이 고구마, 감자, 옥수수 등의 채소를 추수를 해서 지하 창고에 두고 겨울 내내 온 마을 사람의 요긴한 간식거리로 충당하기도 했다. 또 동네에서 유일하게 라디오가 있는 집이었기에 저녁만 되면 많은 동네 사람들이 모여들곤 했다.
    그때부터 덕을 쌓아 가는 것을 익혀왔는지 모르겠다.
  • 세 번이나 숨이 끊어졌다. 하도 약하게 태어났기에, 숨이 세 번이나 끊어 져 매번 죽은 줄만 알고 어머니가 통곡을 하다보면, 나중에 깨어나는 병약한 아이였다고 한다.
    하지만 결국에는 살아나는 특이한 아이였다. 그런 덕택에 좋은 약을 많이 받아먹게 되었으며, 지금까지 잔병치레 없이 건강하게 지내는 요인이 된 듯 싶다.